본문 바로가기
주식 Story/해외주식

글로벌 화학 기업 헌츠맨(Huntsman), 지금이 투자 기회일까?

by Andy Kim Pro 2025. 3. 21.

세계 경제가 불확실한 흐름 속에 있는 지금, 많은 투자자들은 경기순환주의 바닥을 찾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기업 중 하나가 바로 미국의 화학기업 헌츠맨(Huntsman Corporation)입니다.

 

1. 헌츠맨은 어떤 회사일까?

헌츠맨은 1970년에 설립된 글로벌 화학 기업으로, 미국 텍사스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주로 세 가지 분야에서 제품을 만드는데요

설립연도 1970년 본사위치 The Woodlands, TX 77380
상장일 2005/02/11 매출상위 국가 United States (35%)
종업원수 6,300 매출상위 제품 Polyurethanes(64.61%)
홈페이지 http://www.huntsman.com 배당율(분배율) 6.12%
  • 폴리우레탄: 자동차 시트나 건물 단열재, 냉장고의 내부 폼 등에 사용됩니다.
  • 성능 제품: 건설 자재나 전자 제품, 페인트 등에 들어가는 특수 화학물질을 생산합니다.
  • 고급 소재: 항공우주나 고급 자동차에 쓰이는 강도 높고 가벼운 재료들입니다.

이 회사의 제품은 전 세계 곳곳에서 사용되며, 미국, 유럽, 중국에 제조시설이 있어 글로벌 공급망을 갖추고 있습니다.


2. 최근 실적은 어땠을까?

헌츠맨은 지난 2년간 어려운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 매출은 2023년 한 해 동안 24% 감소했고,
  • 이익을 나타내는 조정 EBITDA는 무려 59% 줄었습니다.
  • 2023년 4분기에는 순손실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실적 부진의 원인은 복합적입니다.

  • 세계 경기 둔화,
  • 금리 상승으로 인한 건설 수요 감소,
  • 중국의 경기 둔화,
  • 고객사들이 과거에 쌓아둔 재고가 아직 다 소진되지 않은 상황 등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3. 전문가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

전문가들의 의견은 대체로 '장기적으로는 긍정적, 단기적으로는 인내심이 필요'라는 쪽으로 모이고 있습니다.한 애널리스트는 헌츠맨을 전형적인 경기순환주(Cyclical stock)라고 평가하며, 지금처럼 주가가 낮은 시기는 오히려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점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 미국과 중국의 인프라 투자 증가에 따른 건설 수요 확대
  • 전기차(EV) 관련 부품 수요 증가
  • 새로운 기술 개발 프로젝트(Miralon 탄소 나노튜브 등)
  • 실적 회복에 따른 이익률 개선 가능성

또 다른 분석가는 2024년부터 실적이 점차 회복될 가능성이 있으며, 2026년에는 이익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헌츠맨의 향후 주당순이익(EPS)이 2023년 0.37달러에서 2026년에는 2달러를 넘길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4.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헌츠맨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다음과 같은 변수들을 눈여겨봐야 합니다.

  •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 금리가 내려가면 건설 경기가 살아나고 헌츠맨의 매출도 올라갈 수 있습니다.
  • 중국 시장 회복 여부: 중국이 헌츠맨 매출의 15~20%를 차지합니다.
  • 기술 개발과 M&A(기업 인수합병) 전략: 미래 성장성을 키우는 핵심입니다.
  • 배당 수익률: 현재 배당 수익률이 약 6%에 달해, 장기 투자자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수익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5. 지금이 헌츠맨을 담을 타이밍일까?

현재 헌츠맨의 주가는 과거 대비 크게 낮은 수준입니다. 시장의 반등 시기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잠재력은 충분합니다. 경기가 회복되면 폴리우레탄과 고급 소재에 대한 수요도 다시 증가할 것이고, 헌츠맨은 그 흐름을 탈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하지만 회복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 수익보다는 배당과 장기 성장을 함께 바라보는 인내심 있는 투자자에게 어울리는 종목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향후 분기 실적과 산업 동향, 중국 경기 흐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면서, 주가 하락 시 분할매수 전략을 고민해볼 만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