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센터 및 맞춤형 ASIC으로의 전략적 전환
마블 테크놀로지는 데이터 인프라를 위한 반도체 솔루션 기업으로, 최근 데이터 센터와 맞춤형 ASIC 분야에 집중하며 성장의 중심축을 옮기고 있습니다. 특히 FY25 기준 데이터 센터 부문은 전체 매출의 72%를 차지하며 중심 사업으로 부상했습니다. 자동차 이더넷 사업부는 인피니언에 매각하며 비핵심 사업에서 손을 떼고, 핵심 부문에 R&D와 자본을 집중하는 모습입니다.
주요 하이퍼스케일러 파트너십과 기술 혁신
마블은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세계 유수의 하이퍼스케일러들과 협력하며 AI 및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 중입니다. AWS의 Trainium 프로세서, 마이크로소프트의 Maia 100 AI 가속기 등에서 핵심 파트너로 활약하며, 엔비디아와의 협력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업계 최초 2nm SRAM을 개발해 초고속 메모리와 전력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했습니다.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 목표와 성장 전망
마블은 2028년까지 데이터 센터 및 맞춤형 AI 가속기 시장에서 현재보다 두 배 이상인 20% 이상의 점유율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전체 데이터 센터 TAM은 210억 달러에서 75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마블의 AI 실리콘 매출은 단 1~2년 만에 2억에서 25억 달러 이상으로 도약했습니다. 연평균 50% 이상 성장하는 부문으로, 그 잠재력은 매우 큽니다.
견고한 재무 성과와 매력적인 밸류에이션
마블은 2026년 2분기 가이던스에서 전년 대비 57% 이상의 매출 성장을 예고했으며, EPS도 123%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부채 부담은 있으나, 순부채 대비 EBITDA 비율은 빠르게 개선되고 있고, R&D 및 마케팅에 자원을 집중하며 장기 성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포워드 비GAAP PEG가 0.57배로 경쟁사 대비 매력적이라는 점도 눈에 띕니다.
핵심 비즈니스 집중을 위한 사업 재편
마블은 자동차, 산업용 부문의 약세를 데이터 센터 및 통신 인프라 부문 성장을 통해 상쇄하고 있습니다. 특히 통신 인프라는 전년 대비 92% 성장하며 주목받고 있으며, 맞춤형 ASIC 역량을 바탕으로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 커스터마이징 전략을 통해 750억 달러 규모의 평생 매출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핵심 기술 파트너로 부상중
AI 인프라에 있어 마블 테크놀로지는 단순한 반도체 공급자를 넘어, 핵심 기술 파트너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하이퍼스케일러와의 협력, 기술 혁신, 데이터 센터 집중 전략은 향후 성장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요소입니다. 부채 부담이라는 리스크가 존재하지만, 이는 빠르게 완화되고 있으며 매력적인 밸류에이션을 고려하면 여전히 매수 유효한 종목으로 판단됩니다.
마블 테크놀지 소개 - 4월 26일 포스팅
마블 테크놀지(Marvell Technology)는 1995년에 설립된 미국의 팹리스(fabless) 반도체 회사로, 고성능 데이터 인프라 솔루션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본사는 델라웨어주에 위치해 있으며,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5G 통신, AI 인프라, 자동차 전장 및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 등 다양한 산업군을 대상으로 반도체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자체 생산시설 없이 설계와 연구개발에 집중하며, 외부 파운드리를 통해 제품을 생산하는 구조입니다.
마블은 특히 데이터센터 고속 네트워킹 칩, AI 가속기(Custom Silicon, ASIC), 고속 인터커넥트 제품(PCIe 스위치, CXL 컨트롤러), 스토리지 컨트롤러 등을 주력으로 하며, 최근에는 아마존 AWS와 협력해 차세대 AI 칩(Trainium, Inferentia 시리즈)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최근 주가 급락 배경

2025년 들어 마블 테크놀지의 주가는 약 65% 급락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주요 원인은 미중 무역 긴장 심화로 인한 중국 매출 리스크, hyperscaler 고객(특히 아마존)의 데이터센터 투자 축소 가능성, 그리고 경영진의 보수적 가이던스 제시에 따른 시장 실망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입니다.
특히 마블의 FY25 중국 매출 비중은 44%에 달해 미중 무역 분쟁이 심화될 경우 타격을 받을 우려가 있습니다. 동시에 아마존은 데이터센터 투자 계획을 일부 축소하고 있으며, 마블의 커스텀 실리콘 프로그램 진척에 대해 불만을 표시한 점도 부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AI 사업 성장성과 시장 기대의 차이
마블은 FY25에 AI 부문 매출 15억 달러 목표를 초과 달성했으며, 실제로 약 20억 달러에 달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FY26 목표는 25억 달러로 유지되었고, 시장은 최소 35억 달러 이상의 상향을 기대하고 있었던 상황이었습니다.
경영진은 "25억 달러를 상당히 초과 달성할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지 않아 불확실성을 키웠습니다. 이는 hyperscaler 고객사로부터 신규 대형 수주 확보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을 자극했습니다.
경쟁 심화와 추가 리스크
마블은 브로드컴(Broadcom)과 같은 강력한 경쟁자와 경쟁하고 있으며, 아스테라랩스(Astera Labs)와 같은 신생 기업들로부터도 점유율 잠식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아스테라랩스는 아마존이 투자한 기업으로, 데이터센터 고속 인터커넥트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마존은 차세대 AI 칩 프로그램(Trainium 3) 개발에서 멀티벤더 전략을 고려 중이며, 이 과정에서 마블의 점유율이 감소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마블의 향후 매출 가시성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밸류에이션과 투자 관점
현재 마블의 밸류에이션은 역사적 평균 대비 크게 할인되어 있습니다.
- Forward EV/EBITDA 배수는 14.6배로, 10년 평균인 19.7배 대비 낮은 수준입니다.
- Forward PEG 비율은 업계 평균 대비 70% 할인되어 있습니다.
- Forward EV/Sales 배수는 5.7~6.1배로, 브로드컴의 13.2배 대비 매우 저렴한 편입니다.
이는 시장이 과도한 비관론을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만약 미중 갈등이 완화되거나, 마블이 아마존 이외의 hyperscaler 고객을 추가 확보할 경우, 현재 주가는 매우 매력적인 진입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최종 평가
마블 테크놀지는 단기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와 hyperscaler 고객과의 관계 악화 가능성, 그리고 신규 경쟁자들의 도전이라는 복합적인 악재에 직면해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AI 데이터센터 수요의 성장성과 마블의 기술 경쟁력을 고려할 때 충분한 회복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현재 주가는 이러한 리스크를 상당 부분 반영한 것으로 보이며, 중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는 매수(BUY) 접근이 가능한 시점으로 판단됩니다. 단, 리스크를 인지하고 신중하게 분산 투자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주식 Story >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란티어 주가 분석: AI 기반 국방 데이터 기업의 성장성과 리스크 (0) | 2025.06.28 |
---|---|
AMD 2025년 상반기 종합 분석: 성장 모멘텀과 투자 포인트 (0) | 2025.06.28 |
2025년 상반기 마감, 하반기 리밸런싱 전략은 어떻게 가져가야 할까? (1) | 2025.06.24 |
미 연준 기준금리 동결, 그 결정은 과연 적절했을까? (2) | 2025.06.20 |
재미로 보는 힘스앤헐스(HIMS) 차트 분석 (0) | 2025.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