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 Story/상식 Story

금융에서의 서킷브레이커란?

by Andy Kim Pro 2024. 8. 6.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는 주식 시장에서 급격한 가격 변동을 완화하고 투자자들에게 냉정하게 판단할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 일시적인 거래 중단 장치입니다. 이는 주식 시장이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 자동으로 발동되어 일정 시간 동안 거래를 중지시킵니다.

 

서킷브레이커의 작동 원리

한국 증시에서 서킷브레이커는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 시장 모두에 적용되며,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할 때 발동됩니다

지수 하락 조건: 코스피 또는 코스닥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8%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될 때.

거래 중지 시간: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면 모든 주식 거래가 20분간 중지됩니다.

재개 조건: 20분 후 거래가 재개되며, 그 후에도 지수가 계속해서 하락할 경우 추가적인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될 수 있습니다. 이는 주식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막기 위함입니다.

 

서킷브레이커의 필요성

서킷브레이커는 주식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완화하고 투자자들에게 심리적인 안정을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치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중요합니다:

과도한 공포와 탐욕 완화: 시장이 급격히 하락하거나 상승할 때, 투자자들은 공포나 탐욕에 휩싸여 비이성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서킷브레이커는 이러한 상황에서 일시적인 거래 중단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냉정을 찾을 시간을 제공합니다.

시장 안정성 확보: 급격한 가격 변동은 시장의 안정성을 해치고 시스템적 리스크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서킷브레이커는 이러한 리스크를 줄여 시장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제도적 보호 장치: 서킷브레이커는 주식 시장의 중요한 보호 장치로서, 투자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서킷브레이커의 역사적 배경

서킷브레이커는 1987년 10월의 '블랙 먼데이' 이후 도입되었습니다. 당시 미국 증시는 단 하루 만에 22.6% 급락하는 사태를 겪었고, 이에 따라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 서킷브레이커가 도입되었습니다. 이후 전 세계 주요 증권 거래소들이 유사한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국 증시에서의 서킷브레이커 발동 사례

2020년 3월 19일

2020년 3월 19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한국 증시에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었습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8% 이상 하락했으며,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어 20분간 거래가 중지되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충격을 완화하고, 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행되었습니다.

2008년 금융 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당시에도 한국 증시에서 여러 차례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었습니다. 금융 시장의 급격한 하락을 막고 투자자들에게 시장 상황을 재평가할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서킷브레이커의 작동 과정

발동 조건 충족: 코스피 또는 코스닥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8%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될 때.

거래 중지: 조건이 충족되면 모든 주식 거래가 20분간 중지됩니다.

거래 재개: 20분 후 거래가 재개되며, 이후에도 지수가 계속해서 하락할 경우 추가적인 서킷브레이커 발동 가능.

 

서킷브레이커는 주식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완화하고 투자자들에게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이는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고 투자자들이 보다 냉정하게 시장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한국 증시에서도 여러 차례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사례를 통해 그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서킷브레이커는 금융 시장의 중요한 보호 장치로서 지속적으로 활용될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댓글